조회 수 2098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1. Test 내용

Windows의 경우, [장치에 쓰기 캐싱 사용] 설정/해제에 따라 성능차이가 난다. Test에서는 앞의 설정에 따른 insert, select 그리고 data delete 할 때 compactdb의 성능 차이를 알아본다.

 

2. Test 결론

100만건을 insert 하였을 때, 위의 옵션을 해제 하였을 때가 약 1 40초 가량, 100건을 select 하였을 때에는 옵션을 설정하였을 때 약 0.1초 더 나은 성능을 보여주었다. 또한, compactdb에서는 옵션을 해제하였을 때, 평균 30초가량(최소 : 11.08, 최대 : 63.83) 나은 성능을 보여주었다.

- 옵션 해제가 더 나은 성능을 나타낸 경우 : insert, compactdb

- 옵션 설정이 더 나은 성능을 나타낸 경우 : select

 

Test한 결과를 첨부하였다.

- insert, select 결과

옵션 시간

Start

End

Average

Elasped

Insert

[설정]

10:16:41.202

10:28:00.348

679.099

00:12:59.146

[해제]

15:10:13.694

15:21:33.235

697.353

00:11:19.541

select

[설정]

10:34:02.704

10:34:02.873

0.00141

00:00:00.169

[해제]

15:23:31.189

15:23:31.470

0.00266

00:00:00.281

 

- compactdb 결과

"..._1" : 첫번째 수행, "..._2" : 두번째 수행을 의미

옵션

[설정]

[해제]

차이

100만건

Compactdb_1

Start : 10:43:01.74

End : 10:43:40.24

Elasped : 00:00:38.50

Start : 15:26:02.75

End : 15:26:28.74

Elasped : 00:00:25.99

00:00:12.51

70만건

Compactdb_1

Start : 10:48:56.13

End : 10:49:33.59

Elasped : 00:00:77.46

Start : 16:48:36.78

End : 16:49:02.29

Elasped : 00:00:65.51

00:00:11.95

Compactdb_2

Start : 10:50:13.96

End : 10:50:52.98

Elasped : 00:00:39.02

Start : 16:49:22.85

End : 16:49:49.21

Elasped : 00:00:26.36

00:00:12.66

40만건

Compactdb_1

Start : 10:55:34.34

End : 10:56:18.58

Elasped : 00:00:84.24

Start : 16:52:27.63

End : 16:52:48.04

Elasped : 00:00:20.41

00:00:63.83

Compactdb_2

Start : 10:56:49.52

End : 10:57:22.87

Elasped : 00:00:73.35

Start : 16:53:07.21

End : 16:53:29.22

Elasped : 00:00:22.01

00:00:51.34

0

Compactdb_1

Start : 11:12:35.28

End : 11:13:12.66

Elasped : 00:00:77.38

Start : 16:57:40.76

End : 16:58:07.06

Elasped : 00:00:66.30

00:00:11.08

Compactdb_2

Start : 11:13:45.59

End : 11:14:21.08

Elasped : 00:00:75.49

Start : 16:58:30.24

End : 16:58:47.48

Elasped : 00:00:17.24

00:00:58.25

 

3. Test 상세 내용

. Test 장비 사양

- Windows Server Standard Service Pack 1

- Processor : Intel(R) Xeon(R) CPU 5130 @2.00GHz 2.00GHz(2processors)

- Memory : 8.00 GB

- System type : 32-bit Operating System

 

. CUBRID Version

CUBRID 2008 R4.0 (8.4.0.2027) (32bit release build for Windows_NT) (Oct 25 2011 16:23:30)

 

. 옵션 설정

[컴퓨터] 우클릭 – [관리] – [시스템도구] – [장치관리자] – [디스크드라이브] 확장 – […. Device] 우클릭 – [속성] – [정책] – [쓰기 캐싱 정책] – [장치에 쓰기 캐싱 사용]에서 설정/해제가 가능하다.

 

. 진행 순서

아래 Test 진행 방법은 장치에 쓰기 캐싱을 설정/해제하였을 때, 각각 진행

1) java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insert 진행 : 100만건 insert

2) java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select 진행 : 100 select

3) 배치파일(이하 test.bat)을 이용하여 compactdb – spacedb – compactdb 차례로 수행 : data 100만건

4) 30만건을 delete로 삭제 후, select count(*)로 남은 data 수 확인

5) test.bat 수행 : data 70만건

6) 30만건을 delete로 삭제 후, select count(*) 로 남은 data 수 확인

7) test.bat 수행 : data 40만건

8) 40만건을 delete로 삭제 후, select count(*) 로 남은 data 수 확인

9) test.bat 수행 : data 0

 

. DB 생성 및 Table 생성 방법

cubrid created –db-page-size=4K –log-page-size-4K tdb

cubrid addvoldb –p data –S –db-volume-size=500M tdb

cubrid addvoldb –p index –S –db-volume-size=500M tdb

 

create table tbl1(id varchar(10) primary key, name char(50), addr char(100), phone varchar(20), age int, sex varchar(1), cellular varchar(20));

create index idx1 on tbl1(name, id);

 

. test.bat 내용

echo %time%

cubrid compactdb –S tdb

echo %time%

cubrid spacedb –S –size-unit=PAGE tdb

echo %time%

cubrid compactdb –S tdb

echo %time%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8 운영관리 9.2 버전에서 복제 재구축(ha_make_slavedb.sh) 스크립트를 사용하려면 수정해야 할 부분 brightest 2013.10.24 12909
57 운영관리 CUBRID에서의 BLOB/CLOB 사용시 백업 및 복구에 대한 주의 점 cubebridge 2012.09.18 33806
» 운영관리 Windows 서버에서 [장치에 쓰기 캐싱 사용] 설정/해제에 따른 성능 차이 이용미 2012.06.30 20980
55 운영관리 데이터 입력 중 디스크 공간 부족 오류가 발생하였을 때, 복구 방법 이용미 2012.06.30 15019
54 운영관리 CUBRID 에서의 사용자 권한관리 방법 file cubebridge 2012.04.14 24762
53 운영관리 CUBRID 4.0 버전 IP/db_user 접속 제한 추가 기능 이용미 2011.12.09 9845
52 운영관리 CUBRID 4.0 서버 재부팅 후 CUBRID Tray 기동문제 해결방법 정만영 2011.08.31 12993
51 운영관리 큐브리드 + 아파치 + php 설치 및 연동 1 하하보이 2010.12.15 22556
50 운영관리 windows 환경에서 Manager 접속이 되지 않는 경우 처리 방안 남재우 2010.11.26 14979
49 운영관리 insert 질의로 16K 이상 데이터 입력 시 오류 문제와 해결방법 정만영 2010.07.01 13718
48 운영관리 큐브리드 백업파일(볼륨)을 이용한 과거 데이터 복구 시나리오 janus 2010.04.01 21908
47 운영관리 CUBRID 데이터베이스 버퍼 캐쉬 파라미터($CUBRID/conf/cubrid.conf) Hint 정만영 2010.03.31 17939
46 운영관리 linux에서 ipcs를 이용한 CUBRID의 Shared Memory 확인하는 방법 seongjoon 2010.03.31 27010
45 운영관리 CUBRID 쿼리 수행 중단 시 주의 사항 cubebridge 2010.03.04 17252
44 운영관리 CUBRID에서의 출력 메시지 한글로 변경 방법. file seongjoon 2010.03.01 13055
43 운영관리 한 호스트내의 DB경로 변경 방법 janus 2010.02.19 12922
42 운영관리 큐브리드 복제 구성 시 마스터 데이터베이스 백업 주의사항 정만영 2010.02.11 13256
41 운영관리 cubrid_service.exe 가 CPU 를 지속적으로 일정부분 점유하는 경우 남재우 2010.01.01 13583
40 운영관리 CUBRID Database page크기 확인 방법 janus 2009.12.31 16596
39 운영관리 CUBRID Manager의 백업 자동화를 이용하여 요일 별로 백업을 하는 방법. file seongjoon 2009.12.16 16205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

Contact Cubrid

영업문의 070-4077-2112 / 기술문의 070-4077-2148 / 대표전화 070-4077-2110 / Email. contact_at_cubrid.com
Contact Sales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나눔고딕 사이트로 가기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